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카카오
- pandas
- R
- python3
- level 1
- Oracel
- 빅분기
- sklearn
- 머신러닝
- 알고리즘
- matplotlib
- 파이썬
- 튜닝
- Python
- 실기
- SQL
- oracle
- 빅데이터 분석 기사
- level 2
- Numpy
- 데이터 분석
- 오라클
- 실습
- 코딩테스트
- 프로그래머스
- Kaggle
- seaborn
- Today
- Total
목록프로그래밍/Python (37)
라일락 꽃이 피는 날
for 반복문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for 변수명 in range(반복횟수): 수행 코드 for x in range(10): print('반복 출력') for x in range(10): print('{}번째 반복'.format(x)) for char in 'abcde': print(char) for tup in (1, 2, 3, 4, 5): print(tup) enumerate 순서가 있는 자료형을 입력으로 받아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enumerate 객체를 돌려준다. seasons = ['Spring', 'Summer', 'Fall', 'Winter'] for i, name in enumerate(seasons): print(i, name) 중첩 반복 for x in range(3): # m..
if 조건문 if 조건식: (Tab → indent 들여쓰기) 수행 코드 if True : if문에 종속되어있는 코드를 실행 if False : if문에 종속되어있는 코드를 실행 X if 조건식: print('if문의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') if ~ else if 조건식: print('if문의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') else: print('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이면 수행') print('if문과 별개적으로 수행') if ~ elif ~ else if 조건식: print('if문의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') elif 조건식: print('elif문의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') else: print('if문과 el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이면 수행') 중첩 if문 if 조건식1: if 조건식2: print('i..
1. random from random import random random() # 0.0~1.0 미만 random() * 10 # 0.0~10.0 미만 int(random()*10) # 0~10 미만 int(random()*10)+1 # 1~11 미만 2. randint from random import randint randint(1, 10) # 1~10 이하 chr(randint(65, 90)) # 대문자 A~Z chr(randint(97, 122)) # 소문자 a~z 3. randrange from random import randrange randrange(1, 10) # 1~10 미만 randrange(2, 10, 2) # 2~10 미만 짝수 randrange(1, 10, 2) # 1~10 미..
1. 산술 연산자 + 두 값을 더한 결과를 반환 - 두 값을 뺀 결과를 반환 * 두 값을 곱한 결과를 반환 / 두 값을 나눈 결과를 반환 (실수 값) // 두 값을 나눈 결과의 몫 반환 (정수 값) % 두 값을 나눈 결과의 나머지 반환 ** 거듭 제곱의 결과를 반환 print(3 + 2) # 5 print(3 - 2) # 1 print(3 * 2) # 6 print(3 / 2) # 1.5 print(3 // 2) # 1 print(3 % 2) # 1 print(3 ** 2) # 9 2. 비교 연산자 == 두 값이 동일하면 True, 동일하지 않으면 False != 두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True, 동일하면 False > 왼쪽의 값이 크면 True, 그렇지 않으면 False = 왼쪽의 값이 크거나 같으면..
사용자 입력 값 받기 input() input('값 입력: ') 사용자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하기 userin = input('값 입력: ') 이때, 입력 값은 항상 문자열로만 자료를 입력받는다. a = input('값을 입력 하시오 : ') print('사용자가 {}을 입력 하였습니다.'.format(a)) print('사용자 입력 자료형 : {}'.format(type(a))) 값을 입력 하시오 : 1 사용자가 1을 입력 하였습니다. 사용자 입력 자료형 : 자료형 변환을 통해 다른 자료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. b = int(input('정수 값을 입력 하시오 : ')) print('사용자가 {}을 입력 하였습니다.'.format(b)) print('사용자 입력 자료형 : {}'.format(type..
자료형 종류 1. int (정수) : 0, 음수, 양수 값을 포함하는 숫자 값 2. float (실수) : 소수점을 사용하는 숫자 값 3. str (문자열) : 따옴표로 묶여 있는 값 4. bool (부울형) : True, False만을 가지는 값 5. list (리스트) : 정수, 실수 및 문자열 등 자료들의 순서가 있는 집합 [ ] 6. tuple (튜플) : 정수, 실수 및 문자열 등 자료들의 순서가 있는 읽기 전용 집합 ( ) 7. set (셋) : 정수, 실수 및 문자열 등 자료들의 순서가 없고 중복이 불가능한 집합 { } 8. dict (사전) : 정수, 실수 및 문자열 등 자료들의 키(key)와 값(value)이 쌍으로 존재하는 집합 { } 자료형 확인 type(변수명) a = 10 b = ..
변수 작명 규칙 1. 알파벳 대/소문자, 숫자, 언더바(_), 한글 사용 가능 2. 변수명의 시작은 숫자로 불가능 3. 공백, 언더바를 제외한 특수문자, Python 예약어 사용 불가능 ex) a, A, 변수, a1, a_, _a, a_10 → 가능 ex) 1a, *, a$, a b → 불가능 변수 선언 변수명 = 값 변수명1, 변수명2 = 값1, 값2 a = 10 b = '10' c, d = 11.5, '11.5'
{} : 문자열 또는 정수 출력 print('{} {}'.format('String', 100)) # String 100 print('{} {}'.format(100, 'String')) # 100 String {:f} : 실수 출력 {:.2f} : 소수점 2자리까지 실수 출력 print('{:f}'.format(5/3)) # 1.666667 print('{:.2f}'.format(5/3)) # 1.67 {:b} : 표현식 없는 2진수 값 출력 {:o} : 표현식 없는 8진수 값 출력 {:x} : 표현식 없는 16진수 값 소문자로 출력 {:X} : 표현식 없는 16진수 값 대문자로 출력 print('{:b}'.format(10)) # 1010 print('{:o}'.format(10)) # 12 prin..